본문 바로가기
금융공학

델타, 감마, 스피드! 콜옵션의 가격 변화를 쫓아가보자 #1

by hustler78 2023. 4. 27.
728x90
반응형

 

이 글은 테일러 전개 : 파생상품 헤지의 준비 이론

 

테일러 전개 : 파생상품 헤지의 준비 이론

이 글은 예전글인 2022.05.19 - [수학의 재미/아름다운 이론] - 테일러 전개 #1 테일러 전개 #1 무한번 미분가능한 함수 $f(x):\mathbb{R} \rightarrow \mathbb{R}$ 이 있다고 합시다. 테일러전개(Taylor Expansion)의

sine-qua-none.tistory.com

에서 다루었던 내용을 실제 파생상품에 적용하여 어떤 의미를 갖게 되는지를 알아보는 글입니다.

 

 

파생의 대표주자 콜옵션

 

파생상품 하면 떠오르는 것이 선물, 옵션입니다. 선물이야 기초자산과 거의 비슷하게 움직이므로 분석에 재미가 좀 없지요.  이 글에서는 콜옵션(call option)을 대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옵션 #2. 옵션 프리미엄 구하기(Closed form)

 

옵션 #2. 옵션 프리미엄 구하기(Closed form)

이번 글은 2022.08.17 - [금융공학] - 옵션 #1. 옵션이란? 옵션의 유명한 관계식이 있다던데.. 옵션 #1. 옵션이란? 옵션의 유명한 관계식이 있다던데.. 예전 글 2022.07.28 - [금융공학] - 선도와 선물 #1 : 선

sine-qua-none.tistory.com

이라는 글에서 콜옵션의 수식(closed form)을 유도한 바 있습니다. 복습해 보자면, 콜옵션의 가격을 시점 $t$와 기초자산 각$S$에 대한 2 변수 함수 $c(t, S)$ 라 할 때, 이것은 편미분방정식


$$ c_t(t,S) + (r-q) S c_S(t, S) + \frac12\sigma^2 S^2 c_{SS}(t, S) - r c(t, S) =0 \tag {1}$$
$$ c(T,S) = \max(S-K,0)$$

를 만족합니다. 마팅게일 이론을 적용하여 구한 해(solution)는

 

$$ c(t,S_t) = e^{-r(T-t)} \mathbb{E}(c(T,S_T) | \mathcal{F}_t ) \tag{2} $$
입니다. 여기서 $S_t$는 GBM 모델을 따르는 기초자산으로서 그 dynamics를
$$ dS_t/S_t = (r-q)dt +\sigma dW_t $$

라 세팅할 수 있습니다($r, q, \sigma$는 각각 무위험 이자율, 배당률, 변동성이고 $W_t$는 위너 프로세스.)

 

식 (2)을 풀어보면,

 

$$ c(t,S) = S e^{-q(T-t)} \Phi(d_1) -  Ke^{-r(T-t)}\Phi(d_2)\tag{3}$$

$$ d_1 = \frac{\ln(S/K)+(r-q+\textstyle{\frac12}\sigma^2)(T-t)}{\sigma\sqrt{T-t}}~~,~~ d_2= d_1-\sigma\sqrt{T-t} \tag{4}$$

위의 공식에서 $\Phi(\cdot)$는 누적표준정규분포함수(cdf of normal distribution)이고 $\phi(\cdot)$는 표준정규분포의 확률밀도 함수입니다. 즉,
$$\phi(z) = \frac{1}{\sqrt{2\pi}} e^{-z^2/2} $$
이고

$$ \Phi(z) =\int_{-\infty}^z \phi(x) dx $$ 

입니다.

 

 

콜옵션의 근사식은?

저번글(테일러 전개 : 파생상품 헤지의 준비 이론)

 

테일러 전개 : 파생상품 헤지의 준비 이론

이 글은 예전글인 2022.05.19 - [수학의 재미/아름다운 이론] - 테일러 전개 #1 테일러 전개 #1 무한번 미분가능한 함수 $f(x):\mathbb{R} \rightarrow \mathbb{R}$ 이 있다고 합시다. 테일러전개(Taylor Expansion)의

sine-qua-none.tistory.com

에 따르면 콜옵션의 3차 항까지의 근사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c(t,S+\Delta S) \approx c(t,S) + \frac{\partial c}{\partial S}(t,S) (\Delta S) + \frac12\frac{\partial^2 c}{\partial S^2}(t,S) (\Delta S)^2+ \frac16\frac{\partial^3 c}{\partial S^3}(t,S) (\Delta S)^3 \tag{5}$$

  

편미분 기호를 쓴 것은 $c$가 $t, S$ 두 개의 변수에 대한 함수이기 때문입니다. 

여기에서는 $t$는 상수로 보고, $S$에 대한, 즉, 기초자산 가격에 대한 근삿값을 생각해 보도록 합시다. 이제부터  식(5)에 등장하는 미분값들을 차근히 구해보도록 하죠

 

1계 도함수

함수 $c$의 $S$1계 미분을 구하기 위해서 다음의 관찰 2개가 필요합니다.

 

관찰 1
                                                        $ Se^{-q(T-t)}\phi(d_1) = e^{-r(T-t)} K \phi(d_2) $
증명
$$
\begin{align}
\frac{\phi(d_1)}{\phi(d_2)} &= e^{-\frac12(d_1^2-d_2^2)}\\
& = e^{-d_1\sigma\sqrt{T-t} + \frac12\sigma^2(T-t)}\\
  & = e^{ -\ln(S/K) -(r-q+\frac12\sigma^2)(T-t)+\frac12\sigma^2(T-t) }\\
  & = \frac{ Ke^{-r(T-t)}}{Se^{-q(T-t)}}
\end{align}
$$

 

관찰 2
                                     $ \frac{\partial d_1}{\partial S} = \frac{\partial d_2}{\partial S} $

이것은 식 (4)에서  $d_2=d_1-\sigma\sqrt{T-t}$ 이므로 자명합니다.

 

이제 1계 도함수 $\frac{\partial C}{\partial S}$를 구해보도록 하죠.

$$
\begin{align}
\frac{\partial c}{\partial S} &= e^{-q(T-t)} \Phi(d_1) + Se^{-q(T-t)}\phi(d_1) \frac{\partial d_1}{\partial S} -Ke^{-r(T-t)}\phi(d_2) \frac{\partial d_2}{\partial S}\\
&=  e^{-q(T-t)} \Phi(d_1) + \left( Se^{-q(T-t)}\phi(d_1)  -Ke^{-r(T-t)}\phi(d_2) \right) \frac{\partial d_1}{\partial S}\\
& = e^{-q(T-t)} \Phi(d_1) \tag{6}
\end{align}
$$

위의 두 번째 등식에서는 (관찰 2)가, 첫 번째 등식에서는 (관찰 1)이 쓰였습니다. 특히 관찰 1은 많이 쓰이는 결과이므로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2계 도함수

1계 도함수를 성공적으로 구했으므로 식 (6)에서 바로 구할 수 있습니다.



$$
\begin{align}
\frac{\partial^2 c}{\partial S^2} =e^{-q(T-t)} \phi(d_1) \frac{\partial d_1}{\partial S} = \frac{e^{-q(T-t)} \phi(d_1) }{S\sigma \sqrt{T-t}}\tag{7}
\end{align}
$$

 

3계 도함수

식(7)을 한번 더 $S$로 미분하면 됩니다.


$$
\begin{align}
\frac{\partial^3 c}{\partial S^3} &= -d_1\phi(d_1) \frac{e^{-q(T-t)}}{S^2\sigma^2 {T-t}} - \phi(d_1)  \frac{e^{-q(T-t)}}{S^2\sigma\sqrt{T-t}}\\
&= -e^{-q(T-t)} \phi(d_1) \left[ \frac{1}{S^2\sigma\sqrt{T-t}} +\frac{d_1}{S^2\sigma^2{T-t}}  \right]\\
& =- \frac{e^{-q(T-t)} \phi(d_1)}{S^2\sigma\sqrt{T-t}}  \left[ 1+\frac{d_1}{\sigma\sqrt{T-t}}  \right] \tag{8}
\end{align}
$$

 

 

이상을 정리하면

 

구분 정의 수식
1차 도함수 $$\frac{\partial c}{\partial S}$$ $$e^{-q(T-t)} \Phi(d_1) $$
2차 도함수 $$\frac{\partial^2 c}{\partial S^2} $$ $$ \frac{e^{-q(T-t)} \phi(d_1) }{S\sigma \sqrt{T-t}}$$
3차 도함수 $$\frac{\partial^3 c}{\partial S^3}$$ $$- \frac{e^{-q(T-t)} \phi(d_1)}{S^2\sigma\sqrt{T-t}}  \left[ 1+\frac{d_1}{\sigma\sqrt{T-t}}  \right]$$

입니다.

 

 

 

 

금융공학적인 정의

이어질 글들에서 수도 없이 나오겠지만, 위에서 구한 미분 계수들은 너무 중요한 역할을 하기에 각각의 이름이 있습니다. 먼저 좀 소개를 하자면,

델타(Detla, $Delta$) : 기초자산($S$)에 대한 1계 미분값
감마(Gamma, $\Gamma$) : 기초자산($S$)에 대한 2계 미분값
스피드(Speed) : 기초자산($S$)에 대한 3계 미분값

으로 정의합니다. 

3차 미분으로 갈수록 그 값이 작아지고, 영향도가 떨어져서 델타, 감마 같은 별칭이 없습니다만, 2차 미분값까지는 델타($\Delta$), 감마($\Gamma$) 같은 그리스 문자(Greeks) 별칭이 있습니다. 

 

기초자산에 대한 그리스 문자(Greeks) 별칭은 $\Delta$, $\Gamma$가 있습니다.

따라서 위의 표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도 있죠.

 

 

그릭(Greeks) 수식
델타, $\Delta$ $$e^{-q(T-t)} \Phi(d_1) $$
감마, $\Gamma$ $$ \frac{e^{-q(T-t)} \phi(d_1) }{S\sigma \sqrt{T-t}}$$
스피드 $$- \frac{e^{-q(T-t)} \phi(d_1)}{S^2\sigma\sqrt{T-t}}  \left[ 1+\frac{d_1}{\sigma\sqrt{T-t}}  \right]$$

 

 

여담

예전에도 한번 블로그에 쓴 적이 있는데,  뇌섹남의 델타 구하기 전법이 있습니다.

 

저번 글(옵션 시간가치 쩌는 곳은?) 의 아래 그림을 보면, 델타를 구하는 아주 쉬운(?!?!) 방법이 있습니다.

 

 

 

 

 

 

델타, 감마, 스피드를 가지고 어떤 일들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