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output/CommonHTML/jax.js
본문 바로가기
금융공학

로(Rho)! 콜옵션의 이자율 민감도는?

by hustler78 2023. 6. 9.
728x90
반응형

 

이 글은 Vega에 관련된 글  Vega! 변동성에 대한 콜옵션 가격 민감도

 

Vega! 변동성에 대한 콜옵션 가격 민감도

이 글은 2023.05.26 - [금융공학] - 콜옵션의 움직임을 낱낱이 파헤쳐보자: 민감도 팩터 분석 콜옵션의 움직임을 낱낱이 파헤쳐보자: 민감도 팩터 분석 이번 글은 콜옵션 가격 변동 헤지(hedge) 시뮬레

sine-qua-none.tistory.com

에 이어 무위험 이자율에 대한 민감도를 알아보려 합니다.

 

 

로(rho, ρ)

파생상품의 이자율에 대한 민감도 즉, 파생상품 가격을 이자율로 편미분 한 값을 rho라 하고, 기호로

ρ=Vr

이라 씁니다. V(t,S)는 파생상품의 가치이고, r은 (무위험 이자율)입니다.

 

 

 

이자율이 파생상품 가격에 미치는 이론적인 영향

 

잠깐 예전에 다루었던

파생상품의 가격결정 방정식 : Feynman - Kac Formula 

를 복습해 볼까요? 해당 글은 Black Scholes Equation의 풀이: 확률프로세스를 이용하자.

 

Black Scholes Equation의 풀이: 확률프로세스를 이용하자.

이번 글은 2022.08.04 - [금융공학] - Black Scholes Equation의 풀이 Black Scholes Equation의 풀이 이번 글은 2022.08.03 - [금융공학] - Black Scholes Equation과 Heat Equation의 관계 Black Scholes Equation과 Heat Equation의 관계

sine-qua-none.tistory.com

라는 글에서 알 수 있는데요. 만기가 T인 어떤 파생상품의 시점 t, 기초자산 S에서의 가치를 V(t,S)라 한다면,

V(0,S)=erTE(V(T,ST))

라 구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여기서, St는 GBM 모델을 따르는 기초자산으로서 

dSt/St=(rq)dt+σdWt의 형태입니다(r,q,σ는 각각 무위험이자율, 연속배당률, 변동성이고 Wt는 위너 프로세스입니다.)

 

GBM모델을 풀면

ST=S0exp((rq12σ2)T+σWT)이죠. 이를 식(1)에 대입하고 만기 조건인 V(T,ST)의 기댓값을 해당 파생상품의 가치 V(0,S0)를 알 수 있게 되죠.

 

이런 관점에서 볼 때, 파생상품의 가격에는 이자율이 두 군데 반영됩니다.

 

(반영 1) 할인팩터 : 식 (1)의 erT 부분

이 부분은 이자율 r 이 증가할수록  값이 감소하기 때문에 파생상품의 가격을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반영 2) 기초자산의 drift 항

식(1)의 기댓값 E() 안의 ST의 drift항에 r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drift항이 식(2)의 

rq12σ2

로 나타나게 되는데, r이 증가할수록 위 항이 커지면서 ST가 증가하게 되죠. 만일 만기 페이오프인 V(T,ST)ST에 대한 증가함수라면, ST가 증가하면서 파생상품의 가격도 커지게 됩니다.

 

만기 페이오프가 ST의 증가함수인 대표적인 예는 콜옵션이 있겠죠(풋옵션은 만기 페이오프가 ST에 대한 감소함수)

 

(반영 1)과 (반영 2)로 비추어 봤을 때, 파생상품의 가격을 크게 만드는 요인(반영 2)과 작게 만드는 요인(반영 1)이 공존하여 실제적으로 어떻게 되는지는 조금 아리송할 수 있습니다.

 

 

실제 콜옵션의 예를 들어, 콜옵션의 로(rho)를 계산해 봐야겠습니다.

 

 

콜옵션의 로(rho)

 

콜옵션 가격 c(t,S)를 이자율로 미분해야 합니다.  다시 한번 콜옵션의 가격 공식을 리마인드 해보겠습니다(관련글을 참고해 주세요.)

c(t,S)=Seq(Tt)Φ(d1)Ker(Tt)Φ(d2)

d1=ln(S/K)+(rq+12σ2)(Tt)σTt  ,  d2=d1σTt

위의 공식에서 Φ()는 누적표준정규분포함수(cdf of normal distribution)이고 ϕ()는 표준정규분포의 확률밀도 함수입니다.

 

관련글에서 다음의 관찰 1을 유도한 사실이 있습니다.

 

관찰 1
                                                        Seq(Tt)ϕ(d1)=er(Tt)Kϕ(d2)

 

이제 로(rho)를 구해보도록 하죠. 식(3)을 무작정 r로 편미분 해보겠습니다.

 

 

cr=Seqτϕ(d1)d1r(τKerτΦ(d2)+Kerτϕ(d2)d2r)=(Seqτϕ(d1)Kerτϕ(d2))d1r+τKerτΦ(d2)=τKerτΦ(d2)

 

첫 번째 등식에서는 

d1r=d2r=τσ

가 쓰였고, 두 번째 등식에서는 관찰 1이 쓰였습니다.

 

 

이상을 정리하면

 

구분 정의 수식
로(ρ,1차 도함수) ρ=cr τKerτΦ(d2)

입니다.

 

 

 

로(rho)의 직관적인 해석?

 

위 식 (6)에서 로(rho)를 구했습니다. 바로 다음의 식이죠

ρ=τKerτΦ(d2)

 

이를 직관적으로 해석해 보겠습니다. 식(1)에 따르면

 

 

c(0,S)=erTE(c(T,ST))=erTE(max(STK,0))=erTE[max(S0exp((rq12σ2)T+σTz)K,0)]E[max(S0exp((q12σ2)T+σTz)KerT,0)]

 

우변의 기댓값 안의 max(,)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이것이 행사가 되는 경우, 즉 ITM의 경우여야 하고 이러한 확률은 Φ(d2)가 됩니다(why?)

 

더보기

ITM을 뜻하는 ST>K 는 

S0exp((rq12σ2)T+σTz)>K 입니다.

여기서 zN(0,1)입니다.

따라서
z>ln(K/S0)(rq12σ2)TσTz=d2
이고 따라서
P(z>d2)=Φ(d2)
입니다. 

 

 

이러한 아래, c(0,S)r로 미분하면, 우변의 r에 대한 함수는 KerT 형태뿐이므로 예를 미분한 

TKerT 입니다. 띠라서 이 값에 확률인 Φ(d2)를 구하면 되겠죠. 이것이 바로 직관적인 풀이법입니다.

 

 

다음 글에서 로(rho)에 대해 코딩을 통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